|
HOME > 제품소개 > 온도센서 > 측온저항체 R.T.D |
|
 |
|
측온저항체의 원리 |
금속도체의 전기저항은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라서 변화하며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측온저항체라고 말합니다. |
|
측온저항체의 특징 |
공업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측온저항체는 기타의 온도 Sensor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습니다.
1) 감도가 좋습니다.
2) 안정성ㆍ재현성이 매우 뛰어납니다.
3) 고정도를 얻을 수가 있습니다. |
|
구조 및 계측방법 |
측온저항체의 구조 |
전기저항이 변화를 이용하는 금속선을 저항소선이라고 하며, 이러한 저항소선을 감아놓은 것을 저항소자라고합니다. 일반적으로 저항소자를보호관에 넣어 사용하며 보호관내의 저항소자를 내부도선으로 연결하고 이것을 단자에 결합하여 사용합니다. |
|
측온저항체의 계측방법 |
<2-선식> --- W형식
측온저항체소자의 양단에 1개의도선을 접속한 형식으로 점에서는 다른 형식에 비하여 가격이 싸지만 도선저항의 영향이 크므로 고정도를 요하는 측정에 적합하지 않습니다. |
|
측온저항체의 계측방법 |
<3-선식> --- X형식
측온저항체소자의 한 단에 2개, 다른 한 단은 1개의 도선을 접속하여 도선저항의 영향을제거할 수 있게한 형식으로서 공업용의 계측으로는 신뢰성이 제일 높은 계측방법입니다. |
|
측온저항체의 계측방법 |
<4-선식> --- Y형식
측온저항체소자의 양단에 2개의도선을 접속하여 도선저항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게한 형식으로서 특히 고정도의 온도를 요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2-선식이나 3-선식에 비하여 가격이비싼 것이 단점입니다. |
|
 |
|
사용상의 주의 |
백금측온저항체는 용도에 따라 적정한 것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는 소자의 선정 및 내열, 내식, 내진성을 고려하여 보호관을 선정하고 취부방법(설치)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. |
|
 |
|
MICA형 백금 측온저항체 소자 |
양측에 다수의 운모판(폭 3mm ~20mm, 두께 0.3mm ~ 0.4mm)에고순도백금 저항성(30μ ~ 40μ)을 감고 절연용운모판을 양측에 끼워 반원상의 Stainless Steel 금속판 Spring과 결합되어 Stainless Steel선에 의해 고정되어 있습니다. 또한 저항소선에 걸리는 압력이 작고 조립이 간단하여 공업용에 널리 사용됩니다. |
|
|
 |
|
CERAMIC형 백금 측온저항체 소자 |
CERAMIC의 구조는 Coil 상태로 되어 있는 고순도백금선을 정밀 연마한 재결정 Alumina Ceramic의 몸체에창작하여 그의 및부분을 특수 내열 Frit에 고정시킨 것이다.
저항선의 약 80%가 온도변화로부터 heat strain이 열려있기 떄문에 저항치의 편류가 극소화되고 종래의 다른 권형소자에 비해서 재현성과 장기안정성이 우수합니다. |
|
|
 |
|
GLASS형 백금 측온저항체 소자 |
특수유리체의주위에 고순도의 백금선을 제밀하게 감은 것을 0 °C에서 저항력이 각기의 표준범위안에서 적응되는 특수유리체를 다른 특수 유리관으로 삽입하여 열봉합 합니다.
응답성이 빠르며 절연성, 내전압성, 내약품성 및 진동과 습기 예방에 우수합니다.
|
|
|
 |
|
 |
|
일반형 측온저항체의 원리 |
일반저항체(MICA 형 측온저항체소자)를 사용한 저항온도 SENSOR입니다. |
|
일반형 측온저항체의 특징 |
1) 백금저항선을 사용하고 있기 떄무네 고정도의 측온이 가능합니다.
2) 안정성, 재현성이 매우 우수합니다. |
|
내진형 측온저항체 |
진동이 있는 장소에는 2종 보호관을 사용하여 저항소자 및 내부도선을 보호하고 내진성을 고려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. |
|
저온처리 |
저온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온처리를 반듯이 표기하여주십시요
저온도에는 보화관내부가 결로상태가 되기 떄문에 소자감온부에 절연 저하의 방지조치를 취하게 됩니다. |
|
|
 |
절연관의 종류 및 특성 |
 |
|
금속 보호관의 종류 및 특성 |
 |
|
|